• 과수 유실수 밑거름 주기

• 김장 무, 김장배추, 서리태 수확하기

• 텃밭 갈무리하기 (수확 후 고춧대, 지주대, 폐비닐 제거)

• 농기구 점검 및 수리 정비하기

9월의 농사정보

• 과수 유실수 밑거름 주기

• 김장 무, 김장배추, 서리태 수확하기

• 텃밭 갈무리하기 (수확 후 고춧대, 지주대, 폐비닐 제거)

• 농기구 점검 및 수리 정비하기

사진

식량작물 원예작물 축산특용작물 농업기계생활자원
상순•중순
  • 알맞은 온도로 벼 말리기
  • 1모작 수확과 동시 볏짚 깔기
  • 모랫논 찰흙으로 객토하기
  • 규산질비료 주기
  • 가을 깊이갈이 실시 – 미숙논, 볏짚 준 보통논
  • 보리 씨뿌리기(맥주보리 재배 지역)
  • 밭작물 정선 수매
  • 감자, 고구마 저장(온/습도 조절) – 고구마: 12~15℃, 90~95% – 감자: 3~4℃, 80~85%
  • 김장채소 수확(중부)
  • 시설원예 에너지 절감형 보온시설 설치
  • 중만생종 양파 아주심기(남부)
  • 촉성재배용 과채류 모 관리
  • 사과, 감귤 수확, 저장
  • 과수원 밑거름 주기
  • 국화, 안개초 등 개화조절 위한 전등조명
  • 축사 보온시설 설치와 정비, 환기 관리
  • 비육우 체중에 맞는 사료 먹이기
  • 가축 기생충 구제약 먹이기
  • 새끼돼지 설사병 예방
  • 가축분뇨 제때 없애기(축사 청결유지)
  • 논뒷그루 사료작물 물뺄도랑 정비
  • 느타리버섯 재배사 폐상소독, 겨울재배
  • 약초류 적기 수확, 건조, 조제
  • 인삼 파종, 월동 준비
  • 콤바인 사용 후 점검, 보관
    – 예취부 등 세척하기
    – 각종 윤활유 점검, 교환
    – 각부 체인에 오일 주유
  • 환절기 건강관리
중순•하순
  • 벼 안전저장: 적정수분 15% 이하 – 저장온도 15℃, 습도 70%
  • 가을 깊이갈이 실시 – 미숙논, 볏짚 준 보통논
  • 모랫논 찰흙으로 객토하기
  • 규산질 비료 주기
  • 논보리 물뺄도랑 손질
  • 저장고 온/습도 조절
  • 밭작물 우량품종 고르기 – 콩, 참깨, 땅콩, 고구마 등
  • 김장채소 수확, 저장
  • 시설원예 에너지 절감형 재배관리
  • 토마토, 오이 촉성재배 심기
  • 잎마늘 웃거름 제때 주기
  • 과수원 가을거름 주기
  • 화훼 촉성절화 규격상품 출하
  • 환절기 축사 보온, 환기관리
  • 깔짚 충분히 넣기
  • 조류인플루엔자 차단방역
  • 가축 호흡기 질병 예방
  • 담근먹이, 건초 먹이기 시작
  • 볏짚 암모니아 처리
  • 비타민, 광물질 먹이기
  • 얼거나 변질된 사료 먹이지 않기
  • 담근먹이 급여량 서서히 늘리기
  • 논뒷그루 사료작물 포장 월동 관리
  • 겨울철 느타리버섯 재배, 균사 배양 관리
  • 약초류 적기 수확, 조제
  • 콤바인 사용 후 점검, 보관 준비
    – 배터리 점검과 충전
    – 각 부 센서, 진장부 점검
    – 커버 씌워 통풍이 잘되는 곳에 보관
  • 김장김치 담그기, 무청·무말랭이 만들기
텃밭농사
절기
  • – 무, 알타리무 거두기
  • – 배추, 쪽파 거두기
  • – 시금치, 양파, 마늘 등 겨울 나는 채소 보온
  • – 밭 정리와 농기구 정리

입동(立冬) 겨울의 시작 양력 11월 7일 또는 8일

소설(小雪) 첫눈이 내림 양력 11월 22일 또는 23일